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2 - 주제선정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11 - 팀프로젝트 발표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10 - 보고서 제출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9 - 지표화 및 작업물 취합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8 - EDA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7 - 데이터결합 및 EDA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6 - 주제확정 및 데이터전처리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5 - 방향정리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4 - 배경 재논의 및 데이터수집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3 - 역할세분화 및 배경조사와 데이터수집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1 - 주제탐색
최종 분석 주제 :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역들의 노인 이용 패턴과 접근성, 위험도 분석 후 지표화 및 개선사항 도출
오늘 할 일
- 팀프로젝트 분석 주제 선정
- 팀프로젝트 역할 분배
오늘 한 일
- 주제선정 : 팀원들의 주제공유 중 내가 제안한 ‘고령화로 인한 노인들의 지하철 이용 편의 개선’이 후보로 선정되었고, 후보군중에서 여러 요인(데이터가 풍부한지, 인사이트를 도출할게 많은지, 이슈가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기로 결정. 이를위해 주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리 → 주제 채택
- 역할 분배 : 채택된 프로젝트 주제 ‘고령화로 인한 노인들의 지하철 이용 편의 개선’ 역할 분담
내일 할 일
- EDA 및 세부 분석 : 주어진 데이터 및 수집한 외부데이터에 대한 EDA 진행 및 결과 공유
Issues & Challenges
- 후보주제 : 인구고령화 대비 노인을위한 서울시 지하철 교통사고 안전방안과 이용편의 개선
- 배경
- 인구고령화 :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있다
- ‘23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우리나라 인구의 18.4%로, 향후 계속 증가하여 ’25년에는 20.6%로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됨’(통계청)
- 무임승차 증가 : 노인층의 지하철 이용 비율이 높아지면서 무임승차 비율도 증가
- 노인 교통사고 위험 증가 : 노인층은 신체적 제약이 많아 사고 위험이 크다(ex 걸음이 느려 발끼임 사고나 넘어질 위험)
노인 편의성 문제 증가 : 노인층은 지하철 이용시 계단 이용의 어려움, 복잡한 환승 통로, 빠른 승하차, 엘리베이터 부재, 청력 및 시력 저하로 인해 지하철을 원활하게 이용하지 못할수 있다
→ 노인을위한 지하철 안전장치와 이용편의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 인구고령화 :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있다
- 목적 : 무임승차 비율이 높은 지하철역을 중점적으로 안전시설과 이용편의 개선 (+점진적확대)
- 관련 데이터 :
- 연령별 인구 통계
- 인구고령화 예측 (지역별 주요 인구지표) (2050년도에는 65세이상 40%?!)
- 서울 생활이동 인구
- 최근 5년 서울시 지하철 사고 현황
- 노인 지하철 사고 유형 : 출입문 끼임, 넘어짐, 승강장 발빠짐 등
- 서울시 지하철 호선별 역별 유/무임 승하차 인원 정보
- 서울교통공사 역주소 및 전화번호 (무임승차 높은곳 맵 시각화 가능할듯)
- 서울교통공사 지하철혼잡도 정보
- 무임승차인원 지하철 이용 패턴(무임승차 인원의 시간대별, 노선별 특징)
- 서울교통공사 역별 일별 시간대별 노인 승하차인원 정보
- 서울교통공사 교통약자 이용시설(승강기) 가동현황
- 서울교통공사 엘리베이터 설치현황
- 서울교통공사 에스컬레이터 설치현황
-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이격거리
- 서울시 지하철 역사 노약자 장애인 편의시설 현황
- 개선방안 :
- 교통사고 예방 및 안전 강화 : 소방장치, 발끼임방지장치, 안전인력배치 등 안전조치를 강화하여 사고 예방
- 노인 이용 편의 개선 : 경사로 설치, 역 내 좌석 확대, 안내 시스템 개선(시각 및 청각 보조 개선 등), 역 내 노인 친화적 디자인 도입, 노인 친화적 앱 개발, 안내요원 충원 등 노인의 지하철 이용 편의성 개선
- 배경
- 역할분배 : 채택된 프로젝트 주제 ‘고령화로 인한 노인들의 지하철 이용 편의 개선’ 역할 분담
- 1차적으로는 배경조사부터 데이터수집, 데이터전처리, EDA, 시각화, 보고서 작성을 겹치지않는 선에서 각자 진행하고 취합하는 방향으로 결정. 상황에따라 자신이 좀더 하고싶거나 강점있는 분야로 업무분배를 진행할예정.
Reflection
- 오늘하루종일 어느주제가 프로젝트에 적합한지 커뮤니케이션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이과정에서 다양한 인사이트가 발생되고있다. 채택된 주제도 팀원들의 아이디어들을 바탕으로 괜찮은 주제가 떠올라 제안할수있었다. 꾸준히 의견을 공유해서 유의미한 프로젝트로 마무리되었으면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