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4 - 배경 재논의 및 데이터수집
최종 분석 주제 :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역들의 노인 이용 패턴과 접근성, 위험도 분석 후 지표화 및 개선사항 도출
오늘 할 일
- EDA 및 세부 분석 : 주어진 데이터 및 수집한 외부데이터에 대한 EDA 진행 및 결과 공유
오늘 한 일
- 배경조사 재논의: 식상한분석결과가 예상되는주제를 좀더 도전적인 주제로 바꾸는 방향으로 재논의
- 데이터 수집 : 재논의된 주제에 적합한 데이터 수집
내일 할 일
- EDA 및 세부 분석 : 주어진 데이터 및 수집한 외부데이터에 대한 EDA 진행 및 결과 공유
Issues & Challenges
- 배경조사 재논의: 식상한분석결과가 예상되는주제를 좀더 도전적인 주제로 바꾸는 방향으로 재논의
- 지하철 무임승차를 폐지하면 5년후 무슨일이 벌어질까?
- 가설 : 무임승차를 폐지하면 더많은 교통사고와 교통혼잡이 발생될것이다
- 무임승차를 폐지하면 대중교통 분포가 어떤식으로 변화하고, 이로인해 교통사고와 교통혼잡이 어떤식으로 발생되고, 다른부분에 어떤 영향들을 끼칠까? 그리고 서울에서 어느곳이 제일 영향이 클까?
- 버스혼잡증가, 급발진사고 등 예상
- 2023년 65세이상 운전자 사고 전년대비 14.3%증가, 운전면허 439만 → 474만 증가추세 https://www.police.go.kr/component/file/ND_fileDownload.do?q_fileSn=157221&q_fileId=434512b9-39f5-4f62-893f-19a025b21df2 (경찰청) … 무임승차를 폐지하면 면허소지자가 더욱 증가할것
- 현재 노인인구 80%가 지하철 이용중, 노인인구 20%는 버스, 택시, 자가용… 연령별로 어떤 대중교통을 이용할까?
- https://www.krihs.re.kr/board.es?mid=a10607000000&bid=0008&act=view&list_no=392544 (2024.08.20)
- 고령자의 활력 증진을 위해서는 버스운행 횟수 증대, 의료시설(병의원, 종합병원)과 대규모상업시설, 전통시장 등으로의 접근성 개선이 중요한 요소이며, 노인여가복지시설은 접근거리25km 이내에 확보되어야 활력 증진에 유효한 영향을 미침
- 고령자들은 정책요소 중 버스 내에 ‘보행보조수단의 탑승 용이성 제고’와 ‘버스노선 다양성’이우선 개선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스마트폰을 활용한 대중교통 정보 접근을 희망하여 관련 교육참여 의지(57.1%)가 높음
- 도시특성이 고령자의 대중교통 이용에 영향이 있을것이다. (2023 서울시 고령자의 대중교통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 분석)https://journal.kaopg.or.kr/media/sites/kaopg/2023-057-04/N037570402/N037570402.pdf
- 지하철 적자감소… 그런데 무임승차를 폐지하면 적자가 해결될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60383?sid=100
- 사용데이터 : 지하철 무임승차 폐지시 노인의 대중교통 이용 변화 예측, 구 별 노인인구 증감통계, 교통정체예측?,
- 지하철 무임승차를 폐지하면 5년후 무슨일이 벌어질까?
데이터 수집: 무임승차, 고령화에 따른 경제적 지표 관련 데이터 수집
Notes & Ideas
- 팀논의를 해보니 무임승차와 관련된 경제적 지표들(복지, 건강, 사고)을 분석하기로하고 그중에서 하나를 추리는 방식으로 고민중
Reflection
- 다른팀들은 우리보다 진행속도가 빠른편인것같지만 우리팀은 비록 진행속도는 느리더라도 주제에대해 다양한 시각으로 각자의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많이갖게되어 관점을 넓게 볼수있었다. 데이터분석가는 분석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시각을 가지는것도 굉장히 중요한 요소고 이러한 시각을 스스로 확장하기에는 한계가있기때문에 팀프로젝트에서 주제에대한 의견이 일치하지않고 고민이 길어진다는것은 굉장히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생각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