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5 - 방향정리

최종 분석 주제 :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역들의 노인 이용 패턴과 접근성, 위험도 분석 후 지표화 및 개선사항 도출

오늘 할 일

  • 데이터 수집 및 정리
  • EDA 및 세부 분석 : 주어진 데이터 및 수집한 외부데이터에 대한 EDA 진행 및 결과 공유

오늘 한 일

  1. 데이터 수집 및 정리 : 팀회의후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데이터수집 및 정리
  2. 방향정리 : 팀원 개별적으로 작성된 자료를 모아서 하나의 방향 설정

내일 할 일

  • EDA 및 세부 분석 : 주어진 데이터 및 수집한 외부데이터에 대한 EDA 진행 및 결과 공유

Issues & Challenges

  1. 무임승차 변동시 노인들의 대중교통 이용패턴 예측 : 버스를 선호하는 노인들, 하지만 노인들의 서울 대중교통 이용은 지하철이용이 5명중 4명
    • 65세 이상 고령자는 서울시에서 지하철 비율이 80%에 달하지만, 정작 선호하는 교통수단은 도보와 버스로 나타났음, 대중교통 이용시 계단이나 경사로 등이 주요 불편사항으로 나타남
    • 전체 지역 기준 ‘2020년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노인이 외출할 때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버스 52.8%, 지하철 11.8%, 택시 6.6% 등 대중교통 71.2%, 자가용 25.6%

2023년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건수

65세 이상 주 통행목적과 선호수단

2020 노인실태조사 - 노인의 교통수단과 불편사항 보건복지부

2020 노인실태조사 - 외출 시 노인이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

  • 고령자 통행은 10시~17시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임

고령자 통행시간대

  • 서울시 지하철 무임승차제도를 이용하는 약 400여명의 노인들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노인 지하철 무임수송 변동시 외부활동 감소 43.8% 응답 (2013년 노인 교통이용 요금제고 개선방안 연구 : 지하철 무임승차를 중심으로 / 보건복지부)
    • 지하철 이용 목적은 경제활동보다는 종교활동, 여가, 개인생활 등 다른 활동 목적이 90%
    • 무임승차 개선방안에 대해 ‘노인 소득계층별 이용요금 할인율 차등적용’이 가장 긍정적

무임승차 변동시 노인의 지하철 이용패턴 예상

노인의 지하철 주된 이용목적

노인의 지하철 무임승차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

  • 무임승차와 관련된 연구자료에 무임승차 변동(연령대, 할인율, 폐지)에 따른 이탈하는 가중치가 없는것같음… 무임승차 변동시 노인의 활동 위축을 측정하는 (최근 5년이내)자료가 안보임..
  1. 방향정리 : 팀원이 수집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주제 축소, 방향설정
    •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나왔지만, 아이디어의 공통 주제에 사용되는 ‘무임승차 변화에 따른 노인들의 대중교통 이용패턴’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마땅치 않았다. 데이터가 없기에 방향을 조금 우회할 필요가 있다. 혹은 무임승차 변화시 노인의 대중교통이동이 5%, 10% 변할것이다 가정하고 하는방법도 고민중이다. 하지만 계속 의견을 나누어본 결과, 무임승차 변동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변화를 파악하기에는 한두가지부분에서 물음표가 해결되지 않고있다.
    • → 결국 다른방안으로 주제를 선회하였고, ‘지하철 무임 승/하차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인관련 지표관리(자치구별 복지시설, 의료시설, 대중교통, 위험요인 등) 방안’을 선정할 예정이다. 내일 팀원들과 최종논의후 주제를 확정할 예정이고, 비록 우리팀이 주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오래걸렸지만 그 과정에서 이미 대다수의 데이터와 EDA를 진행했기때문에 진도가 느리지 않다고 생각한다.

Reflection

  • 다른팀보다 우리팀이 진도가 많이느려진것처럼 보이고있다. 다만, 그 과정이 손을놓고 아무것도 하지않은것이 아니라 팀원마다 각자의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그 아이디어가 너무나도 다양하고 가치가 있어서 고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업체에 메일보내는 팀원도 있고, 지인에게 연락하는 팀원도 있었다. 그만큼 열정가득한 우리팀이 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