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11-1 - 주말 회의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18 - 프로젝트 발표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17 - 보고서 및 PPT 마무리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16 - 보고서, PPT 초안 만들기2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15 - 보고서 초안 만들기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14 - A/B 테스트 체크리스트와 설계서 마무리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13 - A/B 테스트 체크리스트와 설계서 만들기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12 - 가설 검증 마무리 및 보고서 스토리라인 잡기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11 - 가설 검증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10 - 퍼널 재조정 및 가설 찾기2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9 - 가설 찾기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8 - 데이터 이슈 발생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7 - Funnel 관점에서 로그분석2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6 - Funnel 관점에서 로그분석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5 - 유저 이용 패턴 파악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4 - 주제 선정
- 채용플랫폼 이용패턴 분석 팀프로젝트3 - 주제 변경
- 구독서비스 프로덕트데이터 분석 팀프로젝트2 - 분석할 수 있는 주제 찾아보기
- 구독서비스 프로덕트데이터 분석 팀프로젝트1 - 첫번째 팀활동 및 주제찾기
최종 분석 주제 : 채용 플랫폼 구직자 이탈 감소를 위한 검색 필터 A/B 테스트 제안
주말 논의 내용
- 요약
- 우리가 분석 주제(채용플랫폼의 구직자 이용 패턴 분석을 통해 이탈요인 파악 및 개선점 제안)를 정한후 데이터를 선택(로그데이터)하고,
- 핵심가치(지원서 제출)를 도달하기전에 이탈하는 고객을 개선하고자 AARRR에서 활성화 관점 퍼널 분석을 진행하고,
- 가설을 설정(검색 필터별 구직자의 지원서 제출 전환율이 다를것이다)하여 검증후 제안까지 진행함
- 주말에는 AARRR 관점에서 퍼널 외 획득, 리텐션, 수익 관점에서 분석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 데이터 관점에서 주어진 데이터의 한계로 분석할 수 없었고,
- 보고서나 PPT에 넣기에는 우리의 분석 주제 흐름과 이어지지 않아 본 프로젝트에서는 제외하기로 결정함
- 대신, 우리가 설정한 가설에 대한 분석 자료를 좀 더 상세하게 보완하고, 제안내용을 A/B 테스트 시나리오까지 작성하여 스토리를 탄탄하게 다지기로 결정함
- 이과정에서 최종 주제 설정을 논의하고 ‘구직자의 채용플랫폼 이탈감소를 위한 검색 필터 A/B 테스트 제안’으로 선정함
향후 일정 공유
- 요약
- 화요일부터 보고서, PPT, colab 작업을 진행하고,
- 목요일 수업끝나기전 결과물 점검후 주말 추가근무 결정하고,
- 금요일에 모의발표 진행후 차주 월요일 최종점검 마무리
- 전체 일정
- 1주차(10/21 ~ 10/25) : 주제 선정 및 간단한 EDA
- 2주차(10/28 ~ 11/1) : 1차 결론 도출 (가설 수립 및 검증후 제안까지 도달)
- 3주차(11/4 ~ 11/8) : 최종 결론 도출 및 결과물 작성 (추가 EDA 및 세부분석 + 태블로 대시보드 구현)
- 모의발표 (11/8금 or 11/10일)
- 4주차(11/11) : 19:00까지 결과물 제출 (
colab
+보고서
+개인협업일지
) +발표 ppt
- 금주 일정
- 월 ~ 화 : 가설 검증 마무리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판단, A/B 테스트를 각자 포트폴리오로 어필하기위해 다같이 참여하여 완성… 작업물 담당자가 진행일정 보고 결정하기)
- 가설 분석 자료 보완하기 : 시각화 및 통계분석 추가
- 필터 최적화를 위한 추가 분석 자료 생각해보기
- A/B 테스트 시나리오와 디자인 만들기
- 화요일 ~ : 보고서, PPT, colab 작성
- 보고서 및 PPT, colab 담당자 주도하에 보고서 스토리라인 세부내용을 팀원에게 나눠서 채우고 보완하기
- 각 담당자는 스토리라인 세부내용을 팀원에게 요청하기
- 매일 보고서 업데이트 기록 (날짜, 제목, 변경이력 등)
- 매일 오전 10시, 오후 3시, 오후 6시에 진척 과정 점검
- 보고서 초안 작성후 점검 (보고서 점검후 PPT 작성을 진행할지는 PPT 담당자가 결정)
- PPT 초안 작성후 점검
- PPT 디자인 잡기(시각화, 대시보드 등)
- 보고서 및 PPT, colab 담당자 주도하에 보고서 스토리라인 세부내용을 팀원에게 나눠서 채우고 보완하기
- 목요일 오후 6시 : 결과물 점검(보고서, PPT, colab)후 일정 조정
- 작업이 많이 남았다면 주말포함하여 진행
- 금요일 : 발표시나리오 작성후 모의발표 진행
- 주말 : 결과물 점검
- 차주 월요일(11/11) : 결과물 및 발표 최종점검
- 월 ~ 화 : 가설 검증 마무리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판단, A/B 테스트를 각자 포트폴리오로 어필하기위해 다같이 참여하여 완성… 작업물 담당자가 진행일정 보고 결정하기)
- 일일 일정
- 오전 10시 : 금일 작업물(보고서, PPT, colab) 계획 점검 (오늘 우리가 어떤것들을 계획했는지)
- 오후 3시 : 중간 점검 (예정대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지, 나누고픈 이야기가 있는지)
- 오후 6시 : 일일 마무리 및 보고서 작성 업데이트 (오늘 우리가 계획한 작업을 완료했는지, 내일은 무엇을 할것인지)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