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1 - 주제탐색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11 - 팀프로젝트 발표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10 - 보고서 제출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9 - 지표화 및 작업물 취합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8 - EDA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7 - 데이터결합 및 EDA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6 - 주제확정 및 데이터전처리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5 - 방향정리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4 - 배경 재논의 및 데이터수집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3 - 역할세분화 및 배경조사와 데이터수집
- 서울시 대중교통 개선 팀프로젝트2 - 주제선정
최종 분석 주제 :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역들의 노인 이용 패턴과 접근성, 위험도 분석 후 지표화 및 개선사항 도출
프로젝트 개요
- 서울시 대중교통의 이용 경향성을 확인하고 문제점을 파악, 개선방향성을 제시하는 프로젝트
- 서울시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자전거 등) 중 하나 이상 선정
- 데이터 전처리, 통계 분석, 시각화를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데이터를 폭 넓게 탐색
- 인사이트를 자유롭게 도출(예시)
- 대중교통 이용객의 편의 증대를 위해 어떤 조치가 이루어져야할지?
- 대중교통 운영사의 수익성 확보를 위해 어떤 제안을 해야할지?
- 기타 대중교통 관련 사회적 이슈에 대한 대응방안 제시
오늘 할 일
- 팀프로젝트 분석 주제 탐색(개인)
오늘 한 일
- 주제제안1 : 서울시 전기차 배터리 화재 관리 방안 마련
- 주제제안2: 지하철 9호선 신설역 수요인원 예측 or 혼잡도가 높은 지하철 대상 효율적인 운행개선방안마련
- 주제제안3: 인구고령화 대비 노인을위한 지하철 교통사고 안전방안과 이용편의 개선
내일 할 일
- 팀프로젝트 분석 주제 선정
- 팀프로젝트 역할 분배
Issues & Challenges
1) 서울시 전기차 배터리 화재 관리 방안 마련
- 최근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 화재(승용차, 전기버스 등)로 인해 안전 우려가 높아짐
- 전기차 배터리는 조기진압 실패시 막대한 비용과 인력이 투입되어 조기발견 및 대응이 중요
- 조기진압을 위한 전기차(지하철, 전기버스, 택시, 전기차, 전동 킥보드, 전동 스쿠터 등) 배터리 화재 대응 방안 필요
- 기획재정부 2025 예산안 20대 핵심과제 전기차 화재 선정 (2024.08.27)
- 2020년 이후부터 올해 6월까지 전기차 화재 발생건수는 총 121건으로 매년 2배 가량 꾸준히 증가 (소방청)
→ 전기차 배터리 화재 조기 진압을 위한 서울시 화재 진압 장소 선정 필요(D형 소화기 배치, 자동 소화설비 설치 등)
관련 데이터 :
- 지역별 전기차 현황정보
- 전기차 관련목록 https://www.data.go.kr/tcs/dss/selectDataSetList.do?keyword=전기차
- 서울시 배터리 화재 발생 지역, 시간, 원인 파악
- 대중교통 이용량이 많은 장소 분석
사례 1 : 전기차 충전소의 최적입지 분석
→ 주제는 다르지만 전기차 수요등 최적입지 도출하는것은 동일함
사례 2 : 2030년 강남구 전기차 급속충전소 최적위치
https://uos-urbanscience.org/archives/uos_portfolio/2030년-강남구-전기차-급속충전소-최적-위치
2) 지하철 9호선 신설역 수요인원 예측 or 혼잡도가 높은 지하철 대상 효율적인 운행개선방안마련
배경 :
수요예측도 실패하고 4량→6량화후 여전히 발생되는 혼잡한 9호선 + 2028년 4개 신설역 개통에 따른 혼잡도 가속화 우려
- 처음발생한 문제가 아닌 과거 ‘헬도림’ 신도림역 등 되풀이되는 지하철 수요예측 실패
- 강남, 여의도 등 서울로 밀집하는 기업과 유동인구는 늘어나지만 지하철 혼잡도는 악화중
→ 과학적인 데이터분석을 통해 지하철 혼잡도 개선 필요성을 제시하고, 개선방안 제언
관련 데이터 :
사례 1 : 지하철 9호선 신설역 수요인원 예측모델 개발 및 정책 제안(2022) 사례 2 : 지하철 5호선 하남구간 개통이후 효율적 운행개선을 위한 강동구 5호선 빅데이터 분석
참고 1 : 데이터로 보는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 (승/하차)
3) 인구고령화 대비 노인을위한 지하철 교통사고 안전방안과 이용편의 개선 배경 :
인구고령화로 인한 무임승차 비율 증가, 지하철 적자는 극심 (2022년 서울교통공사 무임수송 손실금 3,152억원)
매년 수익성 대책이 논의되고있으나 여러요인(특히 정치적요인)으로 무산
그런데, 정부 주도로 시행된 무임승차를 왜 (지자체)도시철도가 감수해야할까? ‘코레일은 지원해주면서… 지자체 도시철도 무임승차 손실지원 0원’
- 무임승차손실을 정부에 지원요청하고있지만… 매번 거절당하는중!
→ 도시철도공사에 떠넘긴 무임승차비용, 정부가 감수하도록 유도하자!
어떻게하면 정부가 예산을 지원해줄까? 예산 지원을 유도해보자!
- 인구고령화로 무임승차비율이 높아지면 지하철 안전과 노인 이용편의가 높아질 필요가 있지않을까?
- 만약 도시철도에서 인구고령화를 대비해서 [1안] 지하철 교통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과학적인 데이터 분석을 거쳐 안전 시스템을 마련한다면(혹은 [2안] 지하철+지하철역에서 발생할수있는 노인의 이용편의를 개선해준다면) 정부에게 합리적으로 예산을 요청할수있지않을까?
- 정부는 시민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 → 인구고령화 대비 과학적인 근거(데이터분석)로 안전을 강화한 도시철도 →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도시철도… → 지하철 적자운영 → 적자의 핵심은 정부 주도 무임승차제도 → 예산지원해주세요!
→ 인구고령화 대비 [1안] 지하철 교통사고 안전방안(인력배치, 안전장소/장비 추가설치 등) 혹은 [2안] 지하철 노인 이용편의 개선방안을 과학적 근거(데이터분석)로 접근하여 정부의 예산지원 명분을 만들자!
표면적인목표 : 인구고령화 대비 노인을위한 지하철 교통사고 안전방안과 이용편의 개선 궁극적인목표 : 정부가 만든 무임승차제도로 적자가나는 상황속에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있는데… 예산좀 주세요
참고 1 : 연구보고서 : 지하철 무임승차제도, 지속가능성 확보하려면 운영손실 정부지원·운영기준 변경 검토 필요
Notes & Ideas
- 전기차 배터리 화재 : 최근 빈번하게 발생되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소식과 진압이 어려움점이 떠올랐고, 마침 오늘 기획재정부에서 2025년 예산안 20대 핵심과제에 전기차 화재가 언급되어 분석주제에 흥미가생겼다. 이번에 잘만든다면 향후 공모전에 활용할 가능성도있다.
- 지하철 9호선 : 지옥철을 직접 경험한적이 있어 다양한 개선책과 풍부한 데이터가 있을것이라 판단하여 선정하였다.
- 지하철 노인 안전시설 및 이용편의 개선 : 팀원들의 주제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봤을때 문득, 지하철 수익성 주체가 꼭 도시철도여야하는가에 의문이 생겼고, 도시철도의 적자원인인 무임승차의 근본적인 주체가 정부임을 파악하여 예산지원을 받을만한 명분을 찾으면 좋을것같다는 생각이들었다.
Reflection
- 팀원들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해보니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여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는것이 흥미롭다.